▪ 파주시 뉴스 - 파주시 최신 소식

파주시 민북마을 주민 58% “정부 지원 부족” 체감 – 접경지역 특혜보다 실질 변화가 필요합니다

강창모기자 2025. 9. 9. 10:54

파주시 민북마을 주민 58% “정부 지원 부족” 체감 – 접경지역 특혜보다 실질 변화가 필요합니다

출처: 경기일보, 2025년 9월 1일 보도 | 기사 원문 보기

핵심 정리

파주시 민통선 북쪽 마을(대성동마을, 통일촌, 해마루촌)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

58%가 “정부의 마을 발전 지원 정책이 부족하다”고 응답

했으며,

64%는 ‘접경지역지원특별법’을 알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민통선 북상 문제에 대해선 찬성 43%, 반대 35%로 팽팽하게 엇갈렸고, 찬성 측은 문화복합시설 및 신재생에너지단지 유치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습니다. 주민들의 솔직한 반응이 곧 “정책이 필요한 바로 그 자리”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기

수치 너머에는 현실이 있습니다. 분단의 상징과도 같은 민북마을 주민들이 절반 이상 “지원이 부족하다”고 느낀다는 것은, 정책이 만들어지는 단계보다 전달되고 체감되는 실효 여부가 훨씬 중요하다는 메시지입니다. 또한 절반 이상이 법의 존재 자체를 모르고 있다는 사실은 홍보와 조율, 교육 부족을 의미합니다.

정책이 존재하는 것보다 그것이 일상 속에서 알아지고 느껴지는 것이 더 핵심입니다.

민통선 북상에 대해 찬반이 나뉘는 상황에서도 찬성 측이 제시한 문화복합시설이나 신재생에너지단지는 주체적인 지역의 목소리입니다. ‘반대’보다 ‘함께 할 미래’에 눈을 돌리는 주민들의 시선이 필요합니다.

정책적 의미와 기대 효과

이번 설문은 파주시와 중앙 정부에 다음과 같은 과제를 던집니다. 첫째,

정책은 주민이 접할 때 의미가 있습니다.

전달 경로—홍보, 설명, 참여—를 빠뜨리면 정책은 공허한 말이 됩니다. 둘째, 찬성 43%·반대 35%라는 팽팽한 분포는 주민 의견이 쉽게 갈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는 향후 정책 설계를 할 때 주민 참여를 더 세심히 설계해야 함을 말합니다.

셋째, 주민들이 직접 제시한 문화·에너지 관련 대안은 단순한 의혹이 아니라, 새로운 지역 비전일 수 있습니다. 정책은 반응만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의 꿈을 키우는 방식으로 진화해야 합니다.

강기자가 전하는 말

“정책은 만들어지는 순간이 아니라, 주민이 알게 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이것이 이번 설문 결과가 가진 묵직한 진실입니다. 정권이 바뀌어도 주민의 삶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말은, ‘실감 나는 변화’를 만들기 위한 역할이 누군가에게는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정책은 쓰는 것이 아니라, 함께 만들어가는 것.”

설문지가 아닌 마을 회관에서, 공청회장이 아닌 실생활에서 주민과의 대화가 이끌어지는 순간이 시작이기를 바랍니다.

함께 나누는 마음

독자 여러분, 정책은 우리 곁에 있습니다.

‘지원이 부족하다’는 주민들의 말은 불만이 아니라, 손 내밀며 묻는 소리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함께 이야기해볼 수 있을까요?”라는 초대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오늘 이 글이, 단순한 기사 이상의 작은 다리가 되어, 정책과 사람이 만날 수 있는 순간으로 이어지길 소망합니다. 강기자는 그 다리를 조심스레 놓아가고 싶습니다.